월급은 동결, 근무는 살인적?…'파업 전야' 경기 버스, 노사 갈등 폭발 직전

 경기도민의 발이 묶일 위기에 처했다. 경기지역 버스 노동조합이 총파업을 예고하며 노사 간의 팽팽한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경기도버스노조협의회는 오늘 오후 4시부터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의 최종 조정 회의에 돌입했다. 만약 이 자리에서 극적인 타협점을 찾지 못한다면, 노조는 내일인 10월 1일 첫차부터 전면적인 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번 파업에는 경기도 내 50개 버스 업체, 약 1만여 대의 버스가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경기도 전체 버스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규모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 교통 대란은 불 보듯 뻔한 상황이라 시민들의 불안감은 커져만 가고 있다. 노조 측은 지난 23일 실시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97.4%라는 압도적인 찬성률로 파업을 가결하며 이미 굳은 결의를 다진 바 있다.

 

이번 노사 갈등의 핵심 쟁점은 민영제 노선 버스 기사들의 열악한 근무 환경과 임금 문제에 있다. 현재 민영제 노선에 적용되고 있는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하루 최대 17시간에 달하는 장시간 노동을 가능하게 하여 기사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는 것이 노조 측의 주장이다. 이에 노조는 민영제 노선의 근무 형태를 준공영제와 동일한 1일 2교대제로 전환하고, 임금 또한 동일한 수준으로 보장해 줄 것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또한, 준공영제 노선에 대해서는 올해 서울 시내버스 임금 인상률(8.2%)에 준하는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이는 대법원의 통상임금 판결을 근거로 한 정당한 요구임을 강조하고 있다. 더 나아가, 2027년까지 경기도 전체 노선에 공공관리제를 확대 시행하기로 한 과거 노사정 합의의 이행을 경기도가 공식적으로 확약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사측의 입장은 완강하다.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은 현재의 경영난을 이유로 민영제 노선의 탄력적 근로시간제 유지를 고수하고 있으며, 임금 또한 동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지난 5월부터 이달 1일까지 총 7차례에 걸쳐 진행된 임금 교섭이 모두 결렬된 것만 보아도 양측의 입장 차이가 얼마나 극명하게 엇갈리는지 알 수 있다. 노조는 더 이상의 대화는 무의미하다는 판단하에 지난 15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하며 파업을 향한 마지막 수순에 돌입했다. 노조 관계자는 "사측이 끝까지 노동자들의 절박한 요구를 외면한다면 총파업은 피할 수 없는 선택"이라며 최후통첩을 날렸다.

 

이제 공은 경기지방노동위원회의 최종 조정 회의로 넘어갔다. 남은 시간은 얼마 없다. 만약 오늘 밤까지 노사 양측이 한 발씩 물러서서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한다면, 경기도는 사상 초유의 교통 대란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1만 9천여 명에 달하는 버스 기사들의 생존권이 걸린 문제이자, 수많은 경기도민의 일상이 걸린 중차대한 사안인 만큼, 노사 양측의 현명하고 책임감 있는 결단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이다. 오늘 밤, 경기도의 교통 운명은 과연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게 될지 모든 이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