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만으론 굶어 죽는다! OECD 1위 노인 고용률의 진실

이처럼 한국 노인들이 은퇴 후에도 계속해서 일터로 나서는 주된 이유는 노후 소득 부족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65세 이상 연금 소득자의 월평균 연금액은 약 80만원에 불과해, 1인 가구 기준 최저 생계비(134만원)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노후 소득 부족으로 인해 많은 고령층이 생계유지를 위해 은퇴 후에도 일자리를 찾아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높은 고용률과는 대조적으로, 노인들이 실제로 종사하는 일자리는 고용 형태, 업종, 임금 수준 등 여러 측면에서 열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65세 이상 임금근로자의 61.2%는 비정규직으로 일하고 있으며, 절반에 가까운 49.4%는 10인 미만의 영세 사업체에서 근무하고 있다. 직종별로는 단순 노무직이 35.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기계 조작·조립원이 15%로 그 뒤를 이었다.

이는 대다수의 고령 근로자들이 자신의 경력이나 전문성과 무관한 단순 육체노동에 종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경력 단절과 일자리 질 저하는 임금 수준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년 직전인 50대 후반 근로자의 평균 월급은 약 351만원인데 반해, 재취업 연령대인 60대 초반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약 279만원으로 20.5%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높은 고용률 이면에는 '노인빈곤'이라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이는 불충분한 연금 제도와 사회안전망의 부재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국민연금 제도가 도입된 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이 흘렀고, 많은 노인들이 연금 수급 대상에서 제외되거나 매우 적은 금액만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고령층 고용률이 높다는 통계 지표가 긍정적인 현상이 아니라, 오히려 노인빈곤이라는 구조적 문제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지적한다. 또한 "단순히 고용률 수치를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고령층의 안정적인 생계 보장과 양질의 일자리 제공을 위한 정책적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상황 개선을 위해서는 노후소득 보장체계 강화와 함께, 고령자의 경력과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연금 제도의 개선과 사회안전망 확충을 통해 노인들이 생계형 노동에 내몰리지 않도록 하는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BEST 머니이슈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로또용지 뒷면 확인하니 1등당첨 비밀열쇠 발견돼
- 빚더미에 삶을 포가히려던 50대 남성, 이것으로 인생역전
- "한국로또 망했다" 관계자 실수로 이번주 971회차 번호 6자리 공개!? 꼭 확인해라!
- 월3000만원 벌고 싶으면 "이 자격증"만 따면 된다.
- "한국로또 망했다" 이번주 971회 당첨번호 6자리 모두 유출...관계자 실수로 "비상"!
- 주름없는 83세 할머니 "피부과 가지마라"
- 현재 국내 주식시장 "이것"최고치 경신...당장 매수해라!!
- 환자와 몰래 뒷돈챙기던 간호사 알고보니.."충격"
- "농협 뿔났다" 로또1등 당첨자폭주.. 적중률87%
- 비트코인으로 4억잃은 BJ 극단적 선택…충격!
- 비x아그라 30배! 60대男도 3번이상 불끈불끈!
- “고양시 지식산업센터” 1년후 가격 2배 된다..이유는?
- 120억 기부자 "150억 세금폭탄"에 울면서 한 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