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속 상처만 흉터 안 남는 '충격적 이유' 밝혀져...

마이클 롱에이커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와 오피르 클라인 미국 시더스시나이 메디컬센터 교수팀은 구강 점막에 생긴 상처가 빠르고 흉터 없이 치유되도록 하는 분자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연구결과는 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중개의학'에 공개됐다.
피부에 상처가 나면 보통 스스로 복구된다.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표피만 손상된 경우는 흉터가 거의 남지 않지만 상처가 깊어 내부의 진피까지 손상되면 피부가 원래대로 재생되지 못하기도 한다. 흉터 조직은 정상 피부와 다르게 피부를 구성하는 단백질인 콜라겐이 고르게 배열되지 않아 섬유화되면서 탄력성이 떨어진다.
흉터 조직은 털이나 땀샘, 신경 등이 부족해 감각을 둔화시키는 등 피부의 기능을 저하시킨다. 얼굴처럼 잘 보이는 부위에 흉터가 남으면 외모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현재 피부에 생기는 흉터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치료법은 없다. 최신 수술 기법이나 치료법이 흉터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이유다.

연구팀은 구강 점막이 다른 부위의 피부보다 회복이 빠르고 흉터가 덜 형성된다는 사실에 주목해 쥐의 구강 점막 섬유아세포와 얼굴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일어나는 상처 회복 과정을 비교했다. 섬유아세포는 상처 회복에 관여하는 핵심 세포다.
그 결과 구강 점막의 섬유아세포에서는 단백질의 한 종류인 'AXL'을 포함한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상처를 재생하고 이 과정에서 효소 'FAK'가 억제된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AXL을 억제하자 쥐의 구강 점막에서도 상처가 섬유화되면서 흉터가 형성됐다. 반대로 쥐 얼굴 상처에 있는 AXL을 자극하자 치유가 빨라지고 흉터가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났다.
인간의 상처 회복 과정에도 AXL과 FAK가 흉터 형성에 관여했다. 반복적인 손상으로 드물게 구강 점막에 흉터가 생긴 인간 참가자를 모집해 추가로 조사한 결과 구강 점막 흉터에서 AXL의 활성이 감소하고 FAK는 발현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AXL 신호 전달 과정이 피부 흉터 치료를 위한 잠재적인 표적이 될 수 있다"며 "임상 적용 전 인간의 상처 치유 과정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BEST 머니이슈
- 내장지방,원인은 비만균! '이것'하고 쏙쏙 빠져…
- 新 "적금형" 서비스 출시! 멤버십만 가입해도 "최신가전" 선착순 100% 무료 경품지원!!
- 오직 왕(王)들만 먹었다는 천하제일 명약 "침향" 싹쓰리 완판!! 왜 난리났나 봤더니..경악!
- 월3000만원 벌고 싶으면 "이 자격증"만 따면 된다.
- "관절, 연골" 통증 연골 99%재생, 병원 안가도돼... "충격"
- "한국로또 뚫렸다" 이번주 1등번호.."7,15…"
- 한의사 김오곤 "2주 -17kg 감량법" 화제!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빠진 치아" 더 이상 방치하지 마세요!!
- 월3천만원 수입 가져가는 '이 자격증' 지원자 몰려!
-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2021년 "당진" 집값 상승률 1위..왜일까?
- 10만원 있다면 오전 9시 주식장 열리면 "이종목" 바
- 120억 기부자 "150억 세금폭탄"에 울면서 한 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