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간 한 장소만 찍어온 사진작가, 그의 렌즈가 포착한 '불변의 진실'은?

 한 장의 사진이 누군가에게는 아련한 기억을,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따뜻한 위로를 건넨다. 여기, 20년이라는 긴 세월을 오롯이 한 공간에 바친 한 사진가의 묵직한 기록이 펼쳐진다. 차재철 사진가의 개인전 ‘홍천향교의 문화유산전–20여년의 기록’이 홍천미술관에서 열리며 잊혔던 시간의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사진가와 홍천향교의 인연은 2005년 봄, 마치 운명처럼 시작됐다. 향교에서 열린 전통 혼례에 우연히 발을 들인 것을 계기로, 그의 렌즈는 이후 20년간 조용히 향교의 사계와 그 안의 사람들을 향했다. 청년유도회 활동부터 성균관 유교신문 기자, 강원일보 객원사진기자에 이르기까지, 그의 삶은 자연스럽게 유교의 세계로 깊이 스며들었다.

 

사진의 배경이 되는 홍천향교는 그 자체로 한 편의 역사다. 조선 성종 이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유서 깊은 공간은 6·25 전쟁이라는 민족의 비극 속에서 완전히 소실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잿더미 속에서 불사조처럼 일어나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고, 굳건히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이번 전시는 바로 이 공간에서 펼쳐지는 유교 전통문화의 핵심, ‘관혼상제(冠婚喪祭)’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엮어낸다. 한 인간의 성인식부터 혼례, 장례, 그리고 조상을 기리는 제례에 이르기까지, 각 의례가 품고 있는 고유의 색채와 상징, 그리고 그 안에 담긴 사람들의 희로애락을 생생하게 포착했다.

 

20여 년간 반복된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사진 속 자연의 빛깔은 해마다 미묘하게 변해갔지만, 묵묵히 전통을 이어가는 유림들의 모습과 그 정신만은 변치 않았다. 차 사진가는 단순히 풍경을 담는 것을 넘어,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과 ‘경로효친’이라는 유교적 가치를 생활 속에서 직접 체득했고, 그 깊은 철학을 한 컷 한 컷의 사진에 고스란히 녹여냈다. 그의 사진이 단순한 기록을 넘어 깊은 울림을 주는 이유다.

 

차재철 작가는 말한다. “한 컷의 사진이 누군가에게는 잊혀진 기억을 불러일으키고, 또 누군가에게는 위안과 응원이 되며 지나간 날의 가치를 새롭게 바라보게 하는 힘이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사진이 단순한 기록에 머물지 않고, 많은 이들의 관심 속에서 새로운 생명력을 얻어 이어지기를 희망한다. 그의 바람처럼, 20년의 오래된 기록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전통과 정신이 어떤 의미로 살아 숨 쉬고 있는지 되돌아보게 하는 강력한 매개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