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까지 나섰다…故 이재석 경사 순직, 해경 자체조사 '올스톱'시킨 한마디는?

 갯벌에 고립된 국민을 구조하다 순직한 고(故) 이재석 경사의 비극적인 사고가 해양경찰 조직 전체를 뒤흔드는 거대한 스캔들로 번지고 있다. 부실 대응 논란에 이어, 사건의 진실을 은폐하려 했다는 충격적인 내부 폭로까지 터져 나오면서 지휘부가 줄줄이 직위 해제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해양경찰청은 16일, 이번 사태의 책임을 물어 이광진 인천해양경찰서장을 전격 대기발령 조치했다고 밝혔다. 사실상의 경질이다. 이 서장뿐만 아니라, 사고가 발생한 영흥파출소의 소장과 사고 당시 당직 팀장 역시 직무에서 즉각 배제됐다. 이는 해경 지휘부가 이번 사안의 심각성을 얼마나 크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번 문책성 인사는 지난 11일 발생한 순직 사고에 대한 인천해경의 총체적 부실 대응이 원인이 됐다. 당시 파출소 당직 인원은 총 6명이었으나, 무려 4명이 휴게시간이라는 이유로 자리를 비웠고, 결국 이 경사 혼자서 위험천만한 갯벌로 출동해야 했다. 심지어 추가 인원 투입마저 늦어지면서 구조의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2인 1조 출동, 최대 3시간 휴게 등 기본적인 안전 규정조차 지켜지지 않은 정황이 속속 드러나면서 단순한 사고가 아닌 '인재(人災)'라는 지적이 거세졌다.

 


사태는 동료들의 용기 있는 폭로로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사고 당시 휴게 중이었던 동료 4명은 기자회견을 열고, "영흥파출소장으로부터 '이 경사를 영웅으로 만들어야 하니 사건과 관련해 함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폭로했다. 고인의 희생을 영웅적 서사로 포장하여 조직의 과실과 시스템 부재를 덮으려 했다는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는 순간이었다. 이 폭로는 국민적 공분을 일으켰고, 해경의 자체 조사 능력에 대한 근본적인 불신으로 이어졌다.

 

결국 이재명 대통령까지 나섰다. 대통령은 "해경이 아닌 외부의 독립적인 기관에 맡겨 엄정히 조사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해경은 외부 전문가 6명으로 구성해 막 활동을 시작하려던 자체 진상조사단의 활동을 전면 중단하고 대통령의 지시를 기다리기로 했다. 해경 관계자는 "어떤 기관에서 조사를 맡을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아 기다리는 상태"라고 밝혀, 향후 외부 기관의 강도 높은 조사가 해경 조직 전체를 향할 것임을 예고했다. 한 젊은 경찰관의 안타까운 죽음이 이제 해경 조직의 명운을 건 진실 규명과 개혁의 시험대로 옮겨붙은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