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분노 "유럽이 기름만 끊으면 푸틴은 항복!"…동맹국에 대놓고 '전쟁 청구서' 날렸다

 한때 돈독한 관계를 과시하며 '브로맨스'라고까지 불렸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관계에 파열음이 공식화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 시간) 영국 런던에서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의 공동 기자회견에 참석해, 지지부진한 우크라이나 전쟁의 책임을 사실상 푸틴 대통령에게 돌리며 노골적인 실망감을 드러냈다. 그는 "푸틴 대통령과의 관계 때문에 (전쟁 종식이) 가장 쉽다고 생각했던 것"이라고 운을 뗀 뒤, "그러나 그는 저를 매우 실망시켰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종전 협상이 길을 잃었다고 보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도 "그는 저를 실망시켰다"는 말을 반복하며 작심한 듯 비판을 쏟아냈다.

 

대선 후보 시절, 단 하루 만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수 있다고 공언했던 트럼프 대통령의 자신감은 온데간데없었다. 지난달 미국에서 푸틴 대통령과 직접 만나 담판을 벌였음에도 아무런 진척이 없자, 결국 인내심이 한계에 다다른 것으로 보인다. 그는 "푸틴은 많은 사람을 죽이고 있으며, 그보다 더 많은 사람(자국 군인)을 잃고 있다"며 "솔직히 러시아 군인들이 우크라이나 군인들보다 더 높은 비율로 살해되고 있다"고 맹비난했다. 그러면서 전쟁을 끝낼 유일한 해법으로 '유가 하락'을 제시하며, 그 책임을 유럽 동맹국들에게 떠넘겼다. 그는 "아주 간단히 말해, 원유 가격이 떨어지면 푸틴은 물러설 것"이라며 "유럽 국가들이 당장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중단해 압박 수위를 높여야 한다"고 강력하게 촉구했다. 유럽을 향해서는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미국에 공정한 일이 아니다"라며 불만까지 표출했다. 다만, 과거 푸틴을 알래스카로 초청했던 것을 후회하느냐는 질문에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어 복잡한 심경을 내비쳤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가자지구 사태에 대한 입장도 명확히 했다. 이스라엘군의 지상전 강화로 민간인 피해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 대해, 그는 하마스에 억류된 인질 석방이 모든 것의 전제 조건임을 분명히 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를 설득해 인도주의적 위기를 막아야 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이것을 끝내길 원하지만, 인질들이 돌아와야 한다"고 강조하며, "하마스가 위협해온 것처럼 인질들이 인간 방패로 쓰여서는 안 된다"고 못 박았다. 우크라이나와 가자지구, 두 개의 전쟁을 둘러싼 그의 발언은 '미국 우선주의'에 입각한 압박과 선결 조건 제시라는 트럼프식 외교의 단면을 고스란히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