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판 '지각변동' 예고? 금감원, 가상자산 간담회 '밀실 선정' 논란!

 금융감독원이 새로 취임한 이찬진 원장과 가상자산 업계의 첫 상견례 자리에 업계 대표들을 선별적으로 초청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해 16곳이 참석했던 간담회는 올해 10곳으로 규모가 대폭 축소되었으며, 참석 업체 선정 방식 또한 금감원이 직접 대상자를 통보하는 방식으로 변경됐다. 이는 기존에 가상자산사업자 신고를 마친 모든 사업자에게 참여 의사를 물었던 방식과는 확연히 달라진 태도로, 업계에서는 금감원의 이번 결정이 가상자산 시장 재편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신임 원장의 첫 공식 만남 자리에서 이처럼 선별적인 초대가 이루어진 것에 대해 업계는 의아함과 함께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오늘(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찬진 금감원장과 가상자산사업자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는 총 10개 사업자 대표가 참석했다. 현재 가상자산사업자 신고를 마친 사업자는 총 27개인 점을 감안하면 절반 이상이 배제된 셈이다. 5개 원화마켓 거래소 중에서는 빗썸을 제외한 4곳이 참석했으며, 코인마켓 거래소 중에서는 포블게이트가 유일하게 자리를 지켰다. 이 외에는 커스터디 업체인 코다와 웨이브릿지 등이 포함됐다. 업계는 원화마켓 거래소 점유율 2위인 빗썸의 제외 이유와 코인마켓 거래소 중 포블만 참석한 이유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해 간담회에는 5대 원화거래소 대표와 7개 코인마켓 거래소 대표, 4개 지갑·보관사업자가 참석하는 등 훨씬 폭넓은 참여가 이루어졌던 것과 대조적이다.

 


이러한 금감원의 선별적 초대는 가상자산 시장의 재편을 시사하는 강력한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가상자산 관련 정책을 적극 추진하는 상황에서 당국이 오히려 더 많은 사업자의 의견을 듣는 것이 당연함에도 불구하고, 참석을 희망하는 업체들을 배제시킨 의도가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코인마켓 거래소 중 유일하게 포블이 참석한 점은 의미심장하다는 분석이다. 현재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원화마켓 위주로 재편되며 코인마켓은 점차 축소되는 추세다. 이러한 상황에서 금융정보분석원(FIU)이 최근 포블게이트에 대한 현장검사를 진행한 것도 이번 간담회 초청과 무관하지 않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FIU 현장검사를 마친 지 불과 2주 만에 금감원의 부름을 받은 포블게이트의 사례는 당국의 특정 코인마켓 거래소에 대한 관심 또는 의도적인 메시지 전달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업계 측 대표들은 당국의 규제 완화를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대형 거래소들은 국내를 넘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중소형 거래소들은 국내 기반 확보와 동반 성장을 위해 중소형 거래소에 한해 '1거래소, 복수은행' 체계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현재 5대 원화마켓 거래소 외에는 원화마켓 추가 개설에 부정적인 금융당국의 입장에 변화를 촉구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간담회는 금감원이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새로운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국내 가상자산 산업의 지형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